‘3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 市 역점과제 무용지물될 판
평택시의 축구장 92개 면적에 달하는 완충녹지 도시계획시설의 무더기 해제 계획은 정부와 민선7기 평택시가 역점 추진하는 ‘미세먼지의 획기적 감축’ 정책에 역행하는 것이어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각종 시책사항을 통해 나무심기를 추진하면서 한편에선 완충녹지를 해제하는 것은 정책의 모순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시는 최근 시청 종합상황실에서 ‘평택시 도시숲 조성관리계획 용역 착수 보고회’를 열었다. 이는 시정운영 10대 중점과제의 하나인 ‘깨끗한 도시환경 조성’으로 미세먼지 감축, 도시 열섬효과 저감 등을 위한 것이다.
또 시는 ‘3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부터 5년 동안 주요 도로변, 하천, 유휴지 등 시 전역에 시민과 함께 나무를 심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앞서 시는 가칭 ‘평택 푸른 하늘 프로젝트’로 올해 기준 56㎍/㎥의 미세먼지 농도를 2022년까지 47㎍/㎥으로 줄이는 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임야(산림) 면적이 전체 면적의 18%에 불과해 전국 최저 수준인데다 서쪽으로 당진석탄화력발전소, 당진제철소, 대산석유화학단지, 평택발전소 등 대규모 미세먼지 발생원이 집중배치돼 전국적으로 최악의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시의 역점 추진 정책은 완충녹지 도시계획시설이 대규모로 해제될 경우 모두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쪽에서는 완충녹지계획시설 해제를 추진하고 다른 한쪽에서 나무를 심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것으로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다.
완충녹지는 성토로 조성된 마운딩 위에 상록교목, 낙엽교목을 교차로 식재해 소음이나 진동, 대기오염, 분진,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도시계획시설이다.
특히 완충녹지는 도시 내 생태연결 기능과 작은 생물의 서식처와 은신처, 이동로 기능, 휴게·휴식이 가능한 공원의 기능까지 다기능 공간으로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실제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연구원이 지난 4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시화산업단지 주변 완충녹지가 미세먼지의 이동을 막아 주거지역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다는 결과도 있다.
완충녹지(도시숲)가 조성되기 전(2000~2005년)에는 산업단지보다 인근 주거단지 미세먼지 농도가 9% 높았지만 완충녹지가 조성된 뒤에는 주거단지 미세먼지 농도가 산업단지와 비교해 12% 낮아진 것이다.
이와 관련 시민 A씨(비전동·55)는 “시의 30만 그루 나무심기와 도시숲 조성이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완충녹지 조성과 병행해야 한다”면서 “시의 완충녹지 도시계획시설 해제 계획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