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안 경제사회노동위원, "쌍용차, 자동차 업계 1순위 거론" 밝혀
정부가 지역경제 주체간 대타협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올해 상반기 안에 2~3곳을 더 선정한다고 밝힌 가운데 자동차 업계 중 쌍용자동차가 1순위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이계안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난 22일 평택지역에서 열린 제41차 금요포럼에서 제2의 광주형 일자리인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로 쌍용자동차가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상생형 지역일자리 후보 지역으로 군산과 구미, 대구가 거론되고 있다”면서 “자동차 업계 회사로는 쌍용자동차가 1순위로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쌍용자동차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로 논의된 것은 지역에 전기차 생산라인을 신설하는 업체의 자체 계획과 관련이 있다”며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쌍용자동차가 언급되고 있는 것은 업체 경영진과도 협의된 사안이다”고 덧붙였다.
상생협력 지역일자리 모델로 선정되면 노사가 상생협약을 성실히 이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중앙정부와 지자체로부터 패키지 지원을 받게 된다.
기업은 중앙정부로부터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의 보조율을 기존 6~10%보다 3~6%p 상향지원받고, 보조금 한도도 100억원에서 150억원으로 확대되는 등의 지원을 받는다. 또 지자체로부터 재정사업 투자보조금, 공유지 대부요율 인하, 수의계약, 산업단지 내 취득한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감면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한편 쌍용자동차는 2009년 4월 전체 임직원의 36% 2천600여명이 정리해고 되자 노조원들이 반발하며 돌입한 옥쇄파업이 촉발돼 64명이 구속되고 1천700여명이 명예퇴직 등으로 회사를 떠나는 등의 아픔을 겪었다.
이에 노ㆍ노ㆍ사ㆍ정(쌍용차, 쌍용차 노조,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대통령직속 경제사회노동위)은 지난해 9월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해고자들을 올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채용키로 최종 합의했다.
앞서 지난 21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 서울청사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 방안’ 발표에서 올해 상반기 안에 제2의 광주형 일자리 대상지역 2~3곳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