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닫기
뉴스
ㆍ경제
ㆍ사회
ㆍ뉴스
정치
ㆍ평택시의회
ㆍ경기도의회
ㆍ국회
ㆍ정치
평택시
문화
ㆍ공연
ㆍ전시
ㆍ문화
주민자치
ㆍ주민자치회/위원...
ㆍ읍면동
ㆍ시민단체
환경
평생학습
오피니언
ㆍ칼럼
ㆍ사설
ㆍ기고
ㆍ쑥고개
복지
동영상
커뮤니티
ㆍPDF 신문
ㆍ공지사항
ㆍ자유게시판
ㆍ설문조사

[단독] 시의회-시, 공공기관장 정책청문회 협약

기사 등록 : 2023-04-05 09:34:00

박명호 samguri1@hanmail.net

  • 인쇄하기
  • 스크랩하기
  • 글씨 확대
  • 글씨 축소
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구글 플러스로 공유 카카오스토리로 공유 네이버 블로그로 공유 네이버 밴드로 공유

시 산하 8개 공공기관 중 5개 기관 대상 확정

시국제교류재단 처장청문회 스타트 예상


 ▲ 시의회와 시의 정책 협약으로 공공기관장 임용후보자에 대한 정책첨문회 대상이 된 5개 공공기관의 로고. 사진=평택저널     ⓒ평택저널
▲ 시의회와 시의 정책 협약으로 공공기관장 임용후보자에 대한 정책청문회 대상이 된 5개 공공기관의 로고. 사진=평택저널    ⓒ평택저널

 

평택시의회와 평택시가 6일 시 산하 공공기관장 임용후보자에 대한 정책청문회(인사청문회) 정책 협약을 체결한다. 정책청문회 첫 대상 공공기관은 국제교류재단 사무처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4일 평택시의회와 평택시에 따르면 6일 오후 유승영 시의장과 정장선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의회-시 간 시 산하 공공기관장 임용후보자 정책청문회 정책 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에 담은 정책청문회 대상 공공기관은 평택도시공사, 평택복지재단, 평택문화재단, 평택시국제교류재단, 평택시청소년재단 등 5개다. 제외된 평택시 장학재단과 평택산업진흥원, 평택시로컬푸드재단 등 3개 기관은 먼저 5개 기관에 대한 정책청문회를 운영해본 뒤 추후 확대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시의회와 시는 법적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공공기관 임용후보자 자격검증을 위한 정책청문회 정책협약을 의욕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지난 2월 지방의회의 인사청문회 운영 등을 담은 지방자치법 일부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빛이 바랜 측면이 있다. 법적 근거가 마련된 상황에서 굳이 정책 협약으로 할 필요가 있냐는 것이다.

 

시의회는 인사청문회(정책청문회)를 투-트랙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지방자치법 일부개정안이 시행되는 9월 이후 관련 조례안을 통한 인사청문회는 공공기관장을 대상으로 하지만 정책 협약으로 진행하는 정책청문회는 처장 등까지 확대한 만큼 상호 보완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시의회는 정책청문회 운영 경험은 법령 개정에 따른 조례를 제정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정책 협약으로 첫 번째 정책청문회를 하는 공공기관은 평택시국제교류재단 사무처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상돈 현 사무처장의 임기가 오는 614일로 만료되기 때문에 후임 선임부터 임용후보자에 대한 정책청문회를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시의회는 시 집행부와 정책청문회 도입을 위한 협의를 해왔고 지난 36일 자체간담회를 통해 정책청문 대상 등을 확정했다.

 

박명호기자